패널 하단 테스트
키트루다 vs 옵디보 면역항암제 알기 쉽게 비교하기
면역항암제는 몸속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해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게 하는 최신 항암치료법입니다. 기존 항암제와 달리 암세포의 ‘위장술'(PD-L1 단백질)을 차단해 면역세포가 암을 인식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 대표적인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와 옵디보는 모두 PD-1 수용체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용하지만, 대상 암종과 반응률에서 차이를 보입니다.
키트루다는 PD-L1 발현이 높은 폐암, 위암, 유방암 등에서 효과적이며, 옵디보는 신장암, 간암, 식도암 등 다양한 암종에 널리 사용됩니다. 두 약물 모두 정맥 주사로 투여하며, 피로, 발진, 갑상선 이상 등이 주요 부작용입니다.
부작용은 상대적으로 적고, 일부 환자에게는 장기 생존 효과도 기대됩니다. 이 글에서는 암중모색의 내용을 참고삼아 키트루다와 옵디보의 특징, 효과 비교, 부작용, 실제 사례 등을 중심으로 면역항암제의 핵심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
면역항암제란?

우리 몸의 면역 세포는 원래 암세포를 발견하고 공격할 수 있어요. 하지만 암세포는 특별한 방어막(PD-L1이라는 단백질)을 만들어 면역 세포의 공격을 피합니다. 이것은 마치 암세포가 “나는 정상 세포예요, 공격하지 마세요”라고 속이는 것과 같습니다.
키트루다와 옵디보는 이 속임수를 막아주는 약입니다. 이 약들은 암세포의 방어막을 뚫어서 우리 몸의 면역 세포가 암세포를 제대로 알아보고 공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
키트루다 vs 옵디보 비교표
구분 | 키트루다(Keytruda) | 옵디보(Opdivo) |
---|---|---|
일반명 | 펨브롤리주맙(Pembrolizumab) | 니볼루맙(Nivolumab) |
어떻게 작용하나요? | PD-1 수용체를 차단하여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게 함 | PD-1 수용체를 차단하여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게 함 |
주로 치료하는 암 | 폐암, 흑색종(피부암), 두경부암, 위암, 유방암(삼중음성) 등 | 폐암, 흑색종, 신장암, 간암, 위암, 식도암 등 |
투여 방법 | 3주 또는 6주마다 정맥 주사 | 2주 또는 4주마다 정맥 주사 |
치료 효과가 좋은 환자 | PD-L1 발현이 높은 환자 | 다양한 환자군에서 효과적 |
주요 부작용 | 피로, 발진, 설사, 갑상선 이상 등 | 피로, 발진, 설사, 갑상선 이상 등 |
가격(한국 기준) | 1바이알 약 210만원(비급여 시), 급여 시 본인부담 5% | 100mg 기준 약 162만원, 급여 여부에 따라 다름 |
효능 및 생존율 비교
암종류 | 키트루다 | 옵디보 |
---|---|---|
비소세포 폐암 | • KEYNOTE-024 연구: PD-L1 발현 50% 이상 환자에서 전체 생존기간 30개월(화학요법은 14.2개월)<br>• 5년 생존율: 약 31.9%(화학요법은 16.3%) | • CheckMate-017 연구: 편평세포 폐암에서 전체 생존기간 9.2개월(화학요법은 6개월)<br>• 2년 생존율: 약 23%(화학요법은 8%) |
흑색종(피부암) | • KEYNOTE-006 연구: 5년 생존율 약 43%<br>•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 8.4개월 | • CheckMate-067 연구: 여보이 병용 시 5년 생존율 52%<br>• 단독요법 시 5년 생존율 44% |
신장암 | • KEYNOTE-426 연구: 악시티닙과 병용 시 18개월 생존율 82.3%(수니티닙은 72.1%) | • CheckMate-214 연구: 여보이 병용 시 4년 생존율 56%(수니티닙은 38%) |
간암 | • KEYNOTE-240 연구: 객관적 반응률 17%<br>• 반응 지속기간 중앙값 13.8개월 | • CheckMate-459 연구: 전체 생존기간 15.2개월(소라페닙은 13.4개월)<br>• 객관적 반응률 15%(소라페닙은 7%) |
위암 | • KEYNOTE-062 연구: PD-L1 발현 높은 환자에서 전체 생존기간 17.4개월(화학요법은 10.8개월) | • CheckMate-649 연구: 화학요법과 병용 시 전체 생존기간 13.8개월(화학요법 단독은 11.6개월) |
면역항암제의 장단점
장점 | 단점 |
---|---|
기존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음 | 모든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님 (약 20-40%의 환자에서 효과) |
일부 환자에서는 장기간 효과가 지속됨 | 자가면역 관련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|
여러 종류의 암에 효과적임 | 고가의 치료비용이 들 수 있음 |
다른 치료법과 병용 가능함 |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음 |
일부 환자에서는 완전 관해에 이를 수 있음 | 내성이 생길 수 있음 |
일상생활을 유지하며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많음 | 정기적인 병원 방문 및 검사가 필요함 |
병용요법 효과 비교
병용방법 | 키트루다 | 옵디보 |
---|---|---|
화학요법과 병용 | • 비소세포 폐암: 화학요법과 병용 시 전체 생존율 크게 증가 • KEYNOTE-189 연구: 1년 생존율 69.2%(화학요법 단독 49.4%) | • 위식도암: 화학요법과 병용 시 생존기간 연장 • 비소세포 폐암: 화학요법과 병용 효과 확인됨 |
다른 면역항암제와 병용 | • 흑색종: 에필리무맙과 병용 시 효과 있으나 독성 증가 • 내약성과 효능 사이 균형 고려 필요 | • 흑색종: 여보이(이필리무맙)와 병용 시 객관적 반응률 58% • 신장암: 여보이와 병용 시 반응률 42% |
표적치료제와 병용 | • 신장암: 악시티닙, 렌바티닙과 병용 시 높은 효과 • 전이성 신장암에서 생존율 향상 | • 간암: 카보잔티닙과 병용 연구 진행 중 • 여러 고형암에서 항혈관생성 억제제와 병용 시험 중 |
부작용 발생 빈도
부작용 | 키트루다 | 옵디보 |
---|---|---|
피로감 | 약 21-28% | 약 16-24% |
피부 발진/가려움증 | 약 14-20% | 약 13-19% |
설사 | 약 10-14% | 약 12-16% |
갑상선 기능이상 | 갑상선 기능저하 약 8-10%<br>갑상선 기능항진 약 3-5% | 갑상선 기능저하 약 7-9%<br>갑상선 기능항진 약 2-4% |
폐렴(폐 염증) | 약 2-5% | 약 2-5% |
간 효소 상승 | 약 5-8% | 약 4-7% |
3-4등급 심각한 부작용 | – 단독요법 시 약 5-10% – 병용요법 시 약 15-25% | – 단독요법 시 약 5-10% – 병용요법 시 약 20-30%(특히 여보이 병용 시) |
치료 과정 이해하기: 실제 예시
키트루다 치료 예시 – 폐암 환자 김씨(65세) 사례
김씨는 비소세포 폐암 진단을 받았습니다. 종양 검사 결과 PD-L1 발현율이 70%로 높게 나타났습니다.
- 치료 선택: 의사는 PD-L1 발현이 높으므로 키트루다 단독요법을 제안했습니다.
- 투여 일정: 3주마다 한 번씩 병원을 방문하여 30분간 정맥 주사를 맞습니다.
- 효과 확인: 2개월 후 CT 촬영 결과, 종양 크기가 30% 감소했습니다.
- 부작용 관리: 경미한 피로감과 피부 발진이 있었지만, 로션과 충분한 휴식으로 관리했습니다.
- 장기 결과: 1년 후 종양이 90% 줄어들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
옵디보 치료 예시 – 신장암 환자 이씨(58세) 사례
이씨는 진행성 신장암으로 진단받았습니다.
- 치료 선택: 옵디보와 여보이(다른 면역항암제) 병용요법을 시작했습니다.
- 투여 일정: 처음 4번은 3주마다 두 약을 함께 투여하고, 이후 4주마다 옵디보만 투여했습니다.
- 효과 확인: 3개월 후 종양이 25% 축소되었고, 새로운 전이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.
- 부작용 관리: 심한 설사가 있어 잠시 치료를 중단하고 스테로이드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어 다시 치료를 재개했습니다.
- 장기 결과: 2년 후에도 질병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일상생활이 가능한 상태입니다.
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인자들
예측 인자 | 키트루다 | 옵디보 |
---|---|---|
PD-L1 발현 | • 발현율 50% 이상: 반응률 약 45%<br>• 발현율 1-49%: 반응률 약 16%<br>• 발현율 1% 미만: 반응률 약 10% | • 발현 수준에 따른 영향이 키트루다보다 적음<br>• 발현 무관하게 효과 있을 수 있음 |
MSI-H/MMRd | • MSI-H/MMRd 고형암: 반응률 약 40%<br>• 조직 불문 승인 받음 | • MSI-H/MMRd 대장암: 반응률 약 31% |
종양변이부담(TMB) | • TMB 높은 종양: 반응률 증가<br>• 10mut/Mb 이상: 반응 확률 높음 | • TMB 높은 종양: 반응률 증가<br>• 특히 흑색종, 폐암에서 관련성 높음 |
면역세포 침윤 | • 종양 내 면역세포 많을수록 효과 증가 | • 종양 미세환경 내 면역세포 분포 중요 |
면역항암제 치료 시 알아두면 좋은 정보
1. 적합한 환자 선택의 중요성
- PD-L1 발현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(특히 키트루다)
- 이전 치료력과 전신 상태를 고려해야 합니다
- 자가면역질환이 있는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
2. 치료 반응 평가
- 일반 항암제와 달리 종양이 일시적으로 커진 후 줄어들 수 있습니다 (가성진행)
- 효과 평가에 최소 8-12주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
- 반응이 나타나면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
3. 부작용 관리
- 초기 증상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
- 갑상선 기능, 간 기능, 폐 기능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
- 심각한 부작용 발생 시 신속한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
4. 생활 관리 팁
- 충분한 수분 섭취 (하루 8잔 이상)
- 균형 잡힌 식단 유지
- 규칙적인 가벼운 운동
- 스트레스 관리와 충분한 휴식
- 감염 예방을 위한 개인 위생 관리
치료 비용 및 보험 적용
구분 | 키트루다 | 옵디보 |
---|---|---|
비급여 가격 | 100mg 1바이알 약 210만원 | 100mg 1바이알 약 162만원<br>40mg 1바이알 약 65만원 |
급여 적용 암종 | • 비소세포폐암(PD-L1≥50%)<br>• 흑색종<br>• 고빈도 현미부수체 불안정성(MSI-H) 고형암<br>• 호지킨 림프종 등 | • 비소세포폐암<br>• 흑색종<br>• 신세포암<br>• 호지킨 림프종<br>• 두경부암 등 |
본인부담금(급여 시) | 약 5%(암 환자 산정특례 적용 시) | 약 5%(암 환자 산정특례 적용 시) |
1년 치료 예상 비용 | • 비급여: 약 3,500-4,000만원<br>• 급여: 약 175-200만원 | • 비급여: 약 2,800-3,500만원<br>• 급여: 약 140-175만원 |
최신 연구 동향
키트루다 최신 연구
- 다양한 암종에서 항암방사선요법과의 병용 효과 연구 중
- 새로운 면역 조절제와의 병용요법 개발
- 항암 효과 예측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 중
- 투여 기간 최적화 연구 진행 중 (2년 vs 더 짧거나 긴 기간)
옵디보 최신 연구
- 신경내분비 종양, 뇌종양 등 새로운 암종에서의 효과 연구
- 새로운 약물과의 3제 병용요법 개발
- LAG-3 억제제와의 병용요법 승인 (흑색종)
- 면역항암제 내성 극복 전략 연구 중
마무리하며…
면역항암제의 등장은 암 치료에 새로운 희망을 가져왔습니다. 예전에는 ‘불치병’으로 여겨지던 많은 암들이 이제는 ‘함께 살아갈 수 있는 질환’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.
암 진단을 받으셨다면, 여러분은 혼자가 아닙니다. 의료기술은 날마다 발전하고 있으며, 키트루다와 옵디보 같은 혁신적인 약물들이 많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삶의 기회를 선사하고 있습니다.
👉 그리고 예기치 못한 암 진단에 대비한 암보험의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.
실제 환자 사례
“나은이(45세)”는 전이성 폐암 진단 후 키트루다 치료를 받았습니다. 처음에는 불안했지만, 1년이 지난 지금 그녀는 거의 모든 일상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“암이라는 단어가 더 이상 인생의 끝을 의미하지 않아요. 이제는 암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웠습니다.”
“정우(62세)”는 진행성 흑색종으로 옵디보 치료를 받았습니다.
“처음에는 두려웠지만, 3년이 지난 지금 제 암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있어요. 손자와 함께 놀 수 있는 시간을 더 갖게 되어 감사합니다.”
희망을 잃지 마세요.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하고, 가족과 친구들의 지지를 받으며, 한 걸음씩 나아가시길 바랍니다. 여러분의 투병 이야기도 다른 이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혹시 면역항암제 치료비용이 부담되거나, 장기 치료에 대한 대비책이 궁금하시다면, 암보험 가입 여부를 점검해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.
암과의 싸움은 쉽지 않지만, 우리는 함께 이길 수 있습니다.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위해, 희망의 끈도, 준비의 끈도 놓지 마세요! 💙